2025년 기준 중위소득 뜻, 계산방법, 복지 혜택 총정리
📌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전체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는 국가가 복지 정책을 운영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되며,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등의 지급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원) | 전년 대비 증가율 |
---|---|---|
1인 가구 | 2,392,013 | 7.34% |
2인 가구 | 3,932,658 | 6.79% |
3인 가구 | 5,025,353 | 6.59% |
4인 가구 | 6,097,773 | 6.42% |
5인 가구 | 7,108,192 | 6.26% |
6인 가구 | 8,064,805 | 6.10% |



📝 기준 중위소득 계산 방법 (예제 포함)
1️⃣ 소득인정액 계산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2️⃣ 소득평가액 계산
소득평가액 = 실제소득 - 근로소득공제 - 가구특성별 지출비용
예제: 월 소득 500만 원 → 근로소득공제 150만 원 → 최종 소득평가액 340만 원
3️⃣ 재산의 소득환산액 계산
재산소득환산액 = {(재산 - 기본재산액 - 부채) × 소득환산율}
예제: 재산 1억 원 → 소득환산액 약 6.9만 원
✅ 최종 소득인정액
소득인정액 = 약 347만 원
기준 중위소득 대비 비율: 56.9%



🏡 복지 혜택 기준
급여 종류 | 중위소득 기준 | 수급 여부 |
---|---|---|
생계급여 | 32% 이하 | ❌ |
의료급여 | 40% 이하 | ❌ |
주거급여 | 48% 이하 | ❌ |
교육급여 | 50% 이하 | ❌ |
기타 지원 | 60% 이하 | ⭕ (일부 가능) |



📌 건강보험료와 기준 중위소득
건강보험료는 가구의 소득과 재산을 반영하여 부과되며, 기준 중위소득 대비 위치를 확인하는 지표가 됩니다.
가구 내 보험가입자의 월 보험료를 합산한 후,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와 비교하여 기준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의 계산 방법
기준 중위소득은 통계청이 발표하는 가구 경상소득의 중간값에 최근 가구소득 평균 증가율, 가구 규모에 따른 소득 수준의 차이 등을 반영하여 산정됩니다. 여기서 가구 경상소득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을 합산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중위소득의 활용 및 복지 혜택
중위소득은 다양한 복지 제도의 수급자 선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 가구에 지급되며, 의료급여는 40% 이하, 주거급여는 48% 이하, 교육급여는 5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지원됩니다.
소득인정액의 계산 방법
복지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중요한데, 이는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소득평가액은 실제소득에서 가구특성별 지출비용과 근로소득공제 등을 차감한 금액이며, 재산의 소득환산액은 재산가액에서 기본재산액과 부채를 제외한 후 소득환산율을 곱하여 산정합니다.
건강보험료와 중위소득
건강보험료는 가구의 소득과 재산을 반영하여 부과되며, 이를 통해 가구의 중위소득 대비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구 내 보험가입자의 월 보험료를 합산한 후,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와 비교하여 기준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의 변화와 추세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꾸준히 상승해왔으며, 2025년에는 전년 대비 약 6.42%의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이는 경제 성장과 물가 상승 등을 반영한 결과로, 복지 혜택의 확대와 국민 생활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결론
기준 중위소득은 국가 복지 정책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지표로, 가구의 소득 수준을 파악하고 복지 혜택의 수급 여부를 결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의 인상으로 인해 더 많은 가구가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국민 생활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소득인정액을 계산하면 가구가 기준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지 혜택 수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교육바우처 신청방법 2025년 사용처 ,신청기간, 자격, 금액, 지급일 총정리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자격 ,신청 방법, 지급일🎓 2025년 교육바우처 교육바우처(교육급여, 평생교육 바우처) 신청 기간, 대상, 사용처, 지원 금액, 지급일을 모두 정리했습니다. ✅ 2025년 교육
dalkomelin.tistory.com
희망저축계좌 1,2 2025년 지원자격 신청기간 총정리
희망저축계좌 지원대상, 서비스 내용, 신청 방법, 신청 기한 총정리 희망저축계좌는 저소득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부 지원 사업으로, 가입 시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추
dalkomelin.tistory.com